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학 절차, 초등학교 전학 절차

설 명절 연휴가 끝나고
2월 부터 3월 까지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님들께서
직장문제, 학구문제, 이사문제 등으로
전학을 고민하는 시즌인데요

제가 알고 있는 선에서
초등학교 학생들의 전학 절차에 대해
간단히 적어볼께요

전학 절차는
1. 주민센터에 전입신고를 한다.
2. 주민센터에서 전학가능한 학교를 배정받는다.
- 이때 배정통지서를 꼭 받아야 해요.
3. 배정받은 학교에 학생과 함께 방문하여 배정통
지서를 제출한다.
- 스쿨뱅킹신청서, 방과후학교 신청서, 스쿨버스
신청서 등 학교에서 제시한 신청서를 작성한다
이렇게 하면 전학은 마무리 됩니다.

생활기록부 전송 등은 다니던 학교와 새로운 학교 선생님들끼리 협의해서 진행 되니 학부모님들은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전학의 행정적인 절차는 이렇게 진행이 됩니다.

행정적으로 꼭 필요하지 않지만 도의적으로 도움이 되는 절차를 말씀 드리면 전학하기 일주일 전 쯤 기존학교 담임선생님께 미리 연락을 하셔서 전학예정임을 이야기해 주시면 생활기록부를 점검 하고 교육과정을 진행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기존학교 행정실에 연락 하셔서 인출예정인 스쿨뱅킹이 있는지 확인 하시는것도 학교 행정에 도움이 됩니다.

반배정
반배정은 당연한 이치지만 보통은 학생수가 가장 적은 반에 배치를 합니다.

반번호 부여
전학생은 통상 기존 학생들이 부여받은 마지막 번호의 다음번호를 부여 받습니다.

2월에 전학과 3월에 전학 차이점
2월에 전학을 하면 기존학년에서 전학처리가 됩니다. 그래서 3월 새학기(새학년)에는 마지막 번호가 부여되지 않고 다른 학생들과 똑같은 조건에서 번호가 부여됩니다.(보통 남여 상관없이 가나다 순으로 부여합니다.) 그래서 2월에 전학처리가 되면 3월에 진학했을때 전학생티가 덜 나게 됩니다. 크게 상관은 없지만 이론상 그렇습니다. (학교 상황에 따라 2월 전학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3월2일자 전학을 해야 합니다.)

3월 2일자 전학
3월 2일자 전학은 2월말에 전학예정인 학교에 전화로 전학예정임을 미리 알려 주신 후 3월 2일에 방문하시면 됩니다. 그렇게 하시면 학교에서 학생맞을 준비를 할 수 있어 학생에게 도움이 됩니다.

추신.
이사하신 후 시간이 오래 지나서 전학을 하시려고 하는 상황도 절차는 똑같습니다. 주민센터에 상황 이야기 하신 후 학교 배정통지서 분실했다고 재발급 요청하시고 절차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이상입니다.